티스토리 뷰

필자는 현재 2024년부터 청년도약계좌를 유지하고 있는중입니다. 육아휴직중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하기도 했고 아직도 육아휴직중에 있어서 아직까지는 정부에서 정한 조건에 해당되어 통장을 유지중입니다. 2025년이 되어 새롭게 바뀐 청년도약계좌의 내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 청년도약계좌


1.기여금 지원 확대

①기존 개인소득 수준에 따라 월 최대 2.1~2.4만원월 최대 2.1~3.3만원 인상

개인소득(연소득, 총급여) 월 최대 기여금
2400만원 이하 33000원(+9000원)
2400만원 초과 3600만원 이하 29000원(+6000원)
3600만원 초과 4800만원 이하 25000원(+3000원)
4800만원 초과 6000만원 이하 21000원

 

②기존 기여금 매칭한도를 초과한 납입분에는 기여금 미지급, 연 최대 8.87% 상품가입 효과   납입한 만큼 기여금 전부 지급으로 바뀜, 연 최대 9.54%의 일반적금상품 가입효과

 

2.3년이상 유지시 혜택 강화

기존 만기(5년) 도래 전 중도해지시 비과세 미적용 및 기여금 환수(단, 특별중도해지 사유 해당시 지원유지)

▶2025년에는 만기(5년) 도래 전이라도 3년이상 유지한 후 중도해지하는 경우 비과세 유지 및 기여금 지급 유지(60%), 이는 최대 연 7.64% 일반적금상품 가입효과가 있습니다.

 

 

3.성실납입시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 부여

기존 가입유지 기간에 따른 별도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이 없고 마이데이터 등을 통해 별도로 납입정도 제공 필요

▶2025년에는 2년이상, 800만원 이상 납입시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 최소 5~10점 부여(KCB, NICE 기준), 청년도약계좌 가입시 청년도약계좌 납입정보 자동 연결

 

4.부분인출 서비스 이용

기존 만기전 부분인출서비스 이용제한이 있었음 (기존 이용제한은 아래글에서 확인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상품정보 총정리]청년희망적금 끝나고 갈아탈 적금이 맞는지 상황정리!

청년도약계좌의 가입대상, 적금방식등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고 청년희망적금에서 갈아타려고 할때 과연 청년도약계좌가 적합한 케이스가 어떤 경우인지 더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hanssiworld22.tistory.com

 

▶2025년에는 2년이상 유지한 경우, 납입원금의 40% 이내에서 부분인출서비스 이용 가능 

 

 

5.청년도약계좌 유지심사 

서민금융진흥원에서는 청년도약계좌 상품 특약에 따라 가입후 1년을 주기로 전년도 개인소득 금액을 다시 확인하고 개인소득 심사결과에 따라 향후 1년 동안 적용받게 될 정부기여금 지급비율을 결정하게 됩니다. 적용한도를 초과한 납입금액에 대해서는 최대 3%의 지급비율이 적용되어 정부기여금을 지급합니다. 

개인소득 심사는 가입후 1년을 주기로 1~6월은 전전년도 소득, 7~12월은 전년도 소득을 기준으로 유지심사가 됩니다. 개인심사가 끝나면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개인소득에 따른 지급비율에 따라 얼마씩 정부기여금이 적용되는지 알람이 오게 됩니다. 

개인소득 확인결과 개인소득 정정이 필요한 경우 서민금융콜센터(국번없이1397-바로연결3번-평일 09:00~18:30)로 문의하면 됩니다. 

 

 

6.참고하면 좋을글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