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장마가 시작되면 몇 주간은 습도가 높아 꿉꿉한 환경속에서 생활하게 됩니다. 이럴때 생각나는게 바로 제습기 인데요. 에어컨에도 제습모드가 있지만 조금 더 쾌적한 생활을 위해 제습기 구매를 고려해보게 됩니다. 어떤 제습기를 사야하는지 제습기 추천 모델과 제습기에 관한 자세한 내용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습기 추천

1.제습량 비교

아무래도 제습기를 사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제습량일것입니다.

TCL 37L
위닉스 21L
캐리어 20L
LG구형 20L

대표적인 제습기의 제습량인데 이는 최대 제습력 60%을 기준으로 했을때 양으로 일반적으로 상품홍보에 쓰인 최대제습량과는 차이가 있으므로 제습력을 확인할때는 반드시 전체의 제습표기 기준을 평균60%로 했을때로 하여 비교하여야 합니다.

위의 제품 말고도 한일스마트, 한경희, 롯데알미늄, 라쿠진등의 10만원대 가성비 제습기의 경우 습도55%로 기준, 강모드 30분으로 했을시 제습량은 100ml도 안나오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역시나 TCL(23L모델)의 제습량은 145mL를 기록했습니다.

다만 제습량이 많을수록 소음, 소비전력이 높아지므로 아래에서 다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소음비교

제습기가 작동할때는 컴프레셔 소음이라는것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창문형 에어컨에서 나오는 소음과 비슷한 정도입니다.

위닉스 40.1dB
LG구형 40.2dB
캐리어 44.2dB
TCL 49.8dB

인버터탑재모델인 위닉스와 LG구형은 비교적 캐리어와 TCL에 비해 소음이 적었고 캐리어와 TCL은 정속형 모델이라 소음이 조금 더 발생하였습니다. 위닉스와 LG구형의 경우 평균 소음은 비슷했으나 LG 23년형의 경우에는 약간 보완되어 강한 제습력에 비교적 조용한 제품으로 바뀌었으므로 이렇게  원할경우는 LG제품, 제습력은 조금 적더라도 소음이 더 적은것을 원할때는 위닉스 제품이 나을것 같습니다.

 

 

3.소비전력 비교

소비전력은 자동차로 따지면 연비와 비슷한 개념으로 제습력과 소음에서 통과된 물품도 소비전력에서 한번더 자세하게 따지고 볼 필요가 있습니다. 제습효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위닉스(21L) 2.6
캐리어(20L) 2.54
LG구형(20L) 2.5
TCL(37L) 2.01

공식적으로 적힌 제습효율은 위와 같은데 실제로 제습량과 소비전력을 비교해봤을때는 아래와 같습니다.

  약풍 제습량 약풍 소비전력
위닉스(21L) 185mL 약 130Wh
LG구형(20L) 274mL 약 160Wh

이는 위닉스가 낮은 소비전력을 위해 제습량을 LG구형보다 조금 줄였다는 결과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캐리어는 피크전력 300Wh, 약모드소비전력 200Wh후반대이고 TCL은 피크전력 1274Wh, 약모드 소비전력 400Wh정도로 아주 높았습니다.

인버터기능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서 소비전력의 차이가 큰것으로 보여졌으며 그나마 캐리어는 제습량이 빵빵하며 정속형임을 감안하면 TCL보다는 나은구조임을 보여줍니다. 여기서 인버터기능이란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바꾸는 장치로 전기변환장치를 호칭하며 전력을 바꾸므로서 소비전력이 조금 더 줄어드는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4.물통크기

제습기 추천 물통용량과 만수용량은 아래와 같습니다. 제조사에서 일반적으로 명시된것이 물통용량이고 만수용량이라고 하여 물통에 물이 가득 차서 흘러넘치지 않도록 적정량이 찼을때 알람이 울리게 되어 있는데 이 만수용량은 일반 물통용량보다는 조금 적습니다.

  전체용량 만수용량
TCL 7.1L 6.2L
위닉스 6.3L 5.6L
LG구형 5L 4.5L
캐리어 4L 3.8L

위의 표와같이 물통이 클수록 만수용량의 차이가 컸으며 캐리어의 경우 제습성능대비 물통용량이 작았습니다. 4개의 제습기 전부 손잡이가 있어 이동이 편리하고 뚜껑분리도 쉬웠으며 뚜껑을 분리하지 않아도 물배수가 용이했습니다. 위닉스의 경우 물통이 투명창이 없어서 물이 얼마나 찼는지 알 수 없어 불편감이 있습니다. 또한 4개의 제품모두 호스의 연결을 통해 물배수가 가능합니다. 제습량이 큰만큼 전체 용량이 큰것은 맞으나 물통관리측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5.편의사항 

제습기의 경우 내부건조기능이 중요한데 이는 내부건조기능이 자동으로 탑재되지 않을시 곰팡이가 잘 번식하여 다음 제습기 사용시 쉰내가 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때문에 캐리어와 TCL의 경우 수동으로 눌러야해서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또한 IoT기능이라하여 에어컨처럼 제습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말하는데 이 기능은 위닉스와 LG구형에만 들어있습니다. UVC살균모드 또한 위닉스와 LG구형에만 있으며 신발건조의 경우에는 키트를 별매로 팔기에 따로 구매해야 합니다.

또한 제습량 설정모드 또한 위닉스와 LG구형에서 조금 더 편한시스템으로 되어있습니다. 지금까지 설명한 사항을 표로 만들면 아래와 같습니다.

  건조 IoT UVC 신발건조
위닉스(21L) 자동 O O 키트별매
LG구형(21L) 자동 O O 키트별매
캐리어(20L) 수동 X X X
TCL(37L) 수동 X X X

 

 

6.가격비교

제습기 추천 가성비를 원한다면 TCL과 캐리어를 추천하고 편의성과 각종 성능 밸러스 측면을 고려한다면 위닉스와 LG제품을 추천합니다. 다만 위닉스의 경우 올해 LG만큼 많은 기능을 탑재하고 많이 보완되어 LG보다는 위닉스가 조금 더 가성비가 좋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TCL(37L) 269000원
캐리어(20L) 329000원
위닉스(21L) 499000원
LG구형(20L) 629000원

 

 

7.제습기추천 결론 

제습기 추천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편의성, 제습성능, 소음, 소비전력등 어느것하나 놓치고 싶지 않은데 가격이 부담스러운게 싫다면 위닉스를 추천합니다. 인버터 제품이 탑재되어있고 소음이 적으며 제습능력이 그에 대비 준수한 편이라 좋고 각종 편의성또한 탑재되어 가격대비 좋습니다.

습도가 너무 높아 제습성능이 좋아야 하는데 예산이 넉넉치 않다면 캐리어를 추천합니다. 다만 인버터제품이 아니라서 조금 시끄럽고 소비전력이 높습니다.

제습해야할 공간이 크고 제습할 양이 많아 빠르고 강한 제습능력을 원한다면 TCL을 추천합니다. 다만 큰소음과 소비전력이 나가므로 이것이 부담스럽다면 37L말고 조금 적은 용량도 판매하고 있으니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마지막으로 그냥 제일 좋은 제습기를 사고 싶다면 LG 24년형 21L를 사는것을 추천합니다. 다만 가격이 70만원대로 비싸기 때문에 가격이 부담스러우다면 작년 LG구형모델을 할인할때 사는것도 좋습니다.
https://link.coupang.com/a/bJdWxK

 

TCL 대용량 스마트 제습기 15L DETL 15E - 가정용 | 쿠팡

현재 별점 4.2점, 리뷰 178개를 가진 TCL 대용량 스마트 제습기 15L DETL 15E!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가정용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

www.coupang.com

https://link.coupang.com/a/bJdXX3

 

위닉스 뽀송 제습기 - 가정용 | 쿠팡

쿠팡에서 5.0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1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https://link.coupang.com/a/bJdX85

 

캐리어 제습기 20L - 가정용 | 쿠팡

쿠팡에서 5.0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1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https://link.coupang.com/a/bJdYRK

 

LG전자 휘센 오브제컬렉션 제습기 20L DQ203PECA - 가정용 | 쿠팡

현재 별점 4.9점, 리뷰 487개를 가진 LG전자 휘센 오브제컬렉션 제습기 20L DQ203PECA!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가정용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

www.coupang.com

https://link.coupang.com/a/bJdYt9

 

LG전자 휘센 듀얼 인버터 제습기 20L DQ200PBBC - 가정용 | 쿠팡

현재 별점 4.8점, 리뷰 1681개를 가진 LG전자 휘센 듀얼 인버터 제습기 20L DQ200PBBC!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가정용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

www.coupang.com

 

 

8.참고하면 좋을글

그리드형